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MU10

KTX 다자녀할인, 청년할인, 청소년할인, 기초수급자할인, 경로할인 + 유아할인

KTX할인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그 중에서 많이 쓰이는 청년, 다자녀, 경로, 기초수급자 만 정리해보았어요. 6세 이상 13세 미만 어린이는 운임의 50%를 할인. 6세 미만의 유아는 운임의 75%를 할인. (단, 유아의 좌석을 지정하지 않을 시 보호자 1명당 유아 1명의 공짜)☞ 고객 연령 및 좌석수 선택에서 어린이 또는 유아 선택 시 결제화면에서 자동할인 적용. 청소년 및 청년 할인청소년 드림: 13세부터 24세까지의 코레일 멤버십 회원. 코레일 사이트나 앱에서 나이로 청소년 인증을 받아야 함.열차별 승차율에 따라 최대 30%까지 할인. 예매는 출발 1일 전까지 코레일톡 앱이나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가능. 힘내라 청춘: 25세부터 33세까지의 코레일멤버십 회원. 코레일 사이트나 .. 여행/KTX 2025. 5. 11.

KTX 승차권 예약은 세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어요

KTX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을 때, 예매 방법이 헷갈리신다면 아래 내용을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어요.1. 휴대폰 앱으로 예약하는 방법 (코레일톡)요즘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에요.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예매할 수 있죠.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코레일톡’**을 설치하세요.앱을 열고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해요.출발지와 도착지, 날짜와 시간을 입력해서 원하는 열차를 찾아보세요.좌석을 고르고 결제를 하면 예약이 완료돼요.발권할 필요 없이 앱 안에서 승차권을 바로 볼 수 있어서 편리하답니다.2. 컴퓨터로 예약하는 방법 (코레일 홈페이지)좀 더 큰 화면에서 보고 싶다면 PC로 예약해도 좋아요.웹브라우저에서 **코레일 홈페이지**에 들어가세요.로그인하거나 비회원으로 예약할 .. 여행/KTX 2025. 5. 11.

안동까지 가는 KTX 중앙선과 강릉까지 가는 강릉선은 서원주에서 갈려요

중앙선과 강릉선은 같이 청량리에서 출발하지만 강릉선은 강릉으로 가고 중앙선은 서원주에서 갈라져서 안동으로 넘어가요. 또 하나 중앙선과 중부내륙선은 달라요. 중부내륙선은 판교에서 문경까지 가는 노선으로서 중앙선보다 서쪽에 있어요. 1. 기본 개념KTX 중앙선은 서울(청량리)에서 시작해 양평–제천–영주–안동으로 이어지는 노선이며 판교-문경을 가는 중부 내륙선과는 달라요.경강선 KTX는 서울 또는 청량리에서 출발해 양평–서원주–강릉으로 이어지는 동해안 고속철 노선이예요.2. 분기점: 서원주역서울에서 원주까지는 두 노선이 같은 선로를 공유합니다.서원주역에서 분기하여,강릉선/경강선은 동쪽 강릉 방향으로,중앙선은 남쪽 제천·단양·안동 방향으로 갈라집니다.전체노선도를 다시 보고 싶으시면 여기 클릭➡3. 운행 노선 비.. 여행/KTX 2025. 5. 11.

강릉갈 때 그리고 동해선으로 연결되는 KTX 경강선(강릉선)

경강선과 강릉선은 KTX 노선에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다른 구간 이름이예요. 철도망 상에서도 역할과 범위가 달라요.용어 정리 먼저!이름 철도 구간명 설명이름철도 구간명설명경강선서울역 ↔ 강원(강릉)서울~강릉을 잇는 전체 노선 이름강릉선서원주~강릉 구간경강선의 동쪽 절반 구간 이름 1. 경강선 (KTX 운행 시 주로 ‘서울~강릉’ 구간 의미)정식 명칭: 서울-강릉 고속철도, 줄여서 ‘경강선’개통 연도: 2017년 12월총 길이: 약 120.7km (청량리~강릉 기준 시 더 김)주요 정차역: 서울, 청량리, 상봉, 양평, 서원주, 만종, 횡성, 둔내, 평창, 진부(오대산), 강릉보통 서울역에서 출발(청량리 경유)하지만 청량리에서 바로 출발하는 경강선도 있다.경강선이라는 이름은 구 철도에서 .. 여행/KTX 2025. 5. 11.

부산에서 강릉으로 가는 KTX 동해선은 아직도 진행 중

동해선은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부산에서 강릉까지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예요고속철이전에는 동해남부선, 동해중부선, 동해북부선으로 나뉘어 불리기도 했어요 역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현대에는 KTX까지 연결되는 동해안 종단 철도로 발전했어요.동해선의 역사 간단 정리1. 일제강점기 (1910년대~1940년대)부산영덕강릉 구간에단선 비전철의 태백선·영동선·삼척선 등이 군수·자원 수송용으로 건설됨목적은 석탄, 광물 자원 채굴과 동해안 통제각 구간은 따로따로 개통되었고 노선명이 제각각이었어요2. 해방 이후 ~ 2000년대영동선, 태백선, 삼척선, 포항선 등으로 구간별 운영단선·비전철 구간이 많고, 연속성 없는 지역철도 성격대부분 무궁화호 중심의 저속 열차 운영,지역 연결만 가능하고 전국 연계는 어려움3. 201.. 여행/KTX 2025.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