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에서 강릉으로 가는 KTX 동해선은 아직도 진행 중

어데로 갔나 2025. 5. 11.
반응형

동해선은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부산에서 강릉까지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예요

고속철이전에는 동해남부선, 동해중부선, 동해북부선으로 나뉘어 불리기도 했어요

 

역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현대에는 KTX까지 연결되는 동해안 종단 철도로 발전했어요.


동해선의 역사 간단 정리

반응형

1. 일제강점기 (1910년대~1940년대)

  • 부산영덕강릉 구간에
    단선 비전철의 태백선·영동선·삼척선 등이 군수·자원 수송용으로 건설됨
  • 목적은 석탄, 광물 자원 채굴동해안 통제
  • 각 구간은 따로따로 개통되었고 노선명이 제각각이었어요

2. 해방 이후 ~ 2000년대

  • 영동선, 태백선, 삼척선, 포항선 등으로 구간별 운영
  • 단선·비전철 구간이 많고, 연속성 없는 지역철도 성격
  • 대부분 무궁화호 중심의 저속 열차 운영,
    지역 연결만 가능하고 전국 연계는 어려움

3. 2010년대 이후 현대화 시작

  • 동해선 광역전철화 및 복선전철화 사업 착수
  • 부산 포항 구간부터 전철화, 일부 KTX 운행 시작
  • 부전~일광 광역전철 개통(2016년), 포항 KTX 개통(2015년) - 경부선의 지선으로 신경주에서 포항까지 이르는 선
반응형

4. 2024~2025년: 완전 연결 및 고속화

  • 2024년 말~2025년 초:
    부산 포항 강릉 구간이 동해선이라는 이름으로 전 구간 직결되었어요
  • 2025년 1월 1일, 부산~강릉 간 직통 열차 ITX-마음 개통 (부산에서 강릉까지 5시간 걸림)
  • 2025년 말부터는 KTX-이음 투입 예정, 부산~강릉을 3시간 이내에 주파 가능하게 됨

전체노선도를 다시 보고 싶으시면 여기 클릭


현재는 부산~강릉을 잇는 대한민국 동해안 고속철도로 발전 중입니다.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된 부산~강릉 동해선은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부산 부전역에서 강릉역까지 총 연장 약 363.8km를 연결해요.

주요 정차역

부전, 신해운대, 기장, 태화강,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 동해, 정동진, 강릉 등

운행 정보

  • 운행 열차: ITX-마음 (최고속도 시속 150km/h)
  • 운행 횟수: 하루 왕복 8회
  • 소요 시간: 약 4시간 50분에서 5시간 20분
  • 요금: 일반실 기준 약 34,900원

향후 계획

반응형

2025년 말부터는 시속 260km의 KTX-이음 (최고속도 시속 286km/h)

부산~강릉 간 소요 시간이 약 2시간 35분으로 단축.

 

현재 서울역에서 강릉을 거쳐 동해역까지는 KTX-이음으로 운행하고 있고 2시간 36분 걸리고 있어요

 

서울역 → 청량리 → 상봉 → 덕소 → 양평 → 서원주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오대산)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타는 사람 입장에서는 강릉선의 연장으로 보이지요.

 

실제로는 진부에서 분기가 되고 이 동해선은 그 유명한 정동진에 정차를 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