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 서예, 캘리그라피

색의 삼요소: 색상, 명도, 채도의 구분 및 비교

by jungwoo2059 2025. 3. 15.
반응형

색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세 가지 요소를 색의 삼요소라고 해요.
이 세 가지 요소는 색상(Hue), 명도(Value), 채도(Saturation)이며, 색을 구별하고 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색상 (Hue)

색의 종류를 결정하는 요소

  • 빨강, 파랑, 노랑과 같은 색의 구분을 의미해요.
  • 색상의 차이는 파장의 차이에서 발생하며, 우리가 인식하는 색의 기본적인 특징이 돼요.
  • 색상에서는 세 가지색이 기본이고 이들을 삼원색이라고 불러요: 빨강, 노랑, 파랑
  • 빨강에 노랑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오렌지, 주황
  • 빨강에 파랑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보라
  • 파랑에 노랑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녹색이가고 불러요

아래 그림은 12색을 나타낸 색상환이예요.


2. 명도 (Value 또는 Brightness, Lightness)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결정하는 요소

  • 명도가 높을수록 색이 밝아지고, 흰색에 가까워짐.
  • 명도가 낮을수록 색이 어두워지고, 검은색에 가까워짐.

예시:

  • 노란색은 원래 명도가 높은 색
  • 남색(딥 블루)은 명도가 낮은 색
  • 같은 파란색이라도 명도를 높이면 하늘색이 되고, 낮추면 네이비가 됨

물감을 다룰 때 물을 많이 섞으면 배경 도화지 색이 투사되어 밝아지는 관계로 명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채도 (Saturation 또는 Chroma, Purity)

색의 선명하고 강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소

  • 채도가 높을수록 원색에 가까운 강렬한 색
  • 채도가 낮을수록 흐릿하고 회색이 섞인 듯한 색
  • 영어의 purity는 순도라고 번역이 되는데 따라서 순수한 원색들이 채도가 제일 높고
  • 다른 색이 섞일수록 채도는 낮아져요
  • 순도가 낮아지면 채도가 낮아지는 거예요
  • 채도가 제일 낮아지게 되면 (여러색이 다섞이면) 검은색이 돼요.
  • 검은색(그리고 흰색, 회색)을 무채색이라고 하는데
  • 무채색은 색상도 없고 채도도 없는 색들을 가리켜요.
  • 무채색은 명도만 가지고 있어요 (흰색은 명도가 높고 검은 색은 명도가 낮아요)

예시:

  • 원색(빨강, 파랑, 노랑)은 채도가 높은 색
  • 파스텔톤이나 그레이시한 색감은 채도가 낮은 색

색의 삼요소 정리

색의 삼요소 의미 특징 예시
색상 (Hue) 색의 종류 빨강, 파랑, 노랑 등 주황, 보라, 녹색 등
명도 (Value) 색의 밝기 정도 밝을수록 흰색에 가까움 하늘색(높은 명도), 네이비(낮은 명도)
채도 (Saturation) 색의 강렬한 정도 높을수록 선명한 색, 낮을수록 흐릿한 색 형광색(높은 채도), 베이지(낮은 채도)

색의 삼요소 활용 예시

디자인 & 캘리그라피

  • 명도가 높은 색은 가독성이 좋고, 명도가 낮으면 차분한 분위기 연출 가능
  • 채도를 조절하면 감성적인 느낌부터 강렬한 느낌까지 다양한 연출 가능

인테리어 & 패션

  • 채도가 낮은 색(뉴트럴 톤)은 세련된 분위기 연출
  • 색상을 조합할 때 보색 관계를 이용하면 강한 대비 효과를 줄 수 있음

사진 & 영상 편집

  •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조절하여 감성적인 색감(무채색, 빈티지톤, 쨍한 색감 등)을 연출
반응형